치솟는 물가가 서민들을 점점 더 먹고 살기 힘들게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계속되는 경제 악화 속에 양극화가 더 깊어졌다는 분석이 나오는데요. <br /> <br />통계청이 발표한 가계동향조사를 보면 올해 3분기 소득 하위 20%의 실질소득은 103만 9,600원으로 지난해보다 6.5%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같은 기간, 상위 20%는 2%가 줄었고 전체 가구로 범위를 넓혀도 평균 2.8% 감소해 전체적으로 실질소득이 줄었지만, 저소득층이 고물가의 영향을 더 크게 받은 셈인데요. <br /> <br />또 소득보다 지출이 큰 적자 가구도, 하위 20%의 저소득층은 57.7%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저소득층 10가구 중 6가구는 지난 3분기 적자로 살았다는 의미죠. <br /> <br />또 하나 눈에 띄는 통계는, 하위 20%, 저소득층의 식비 지출이 유독 크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이들은 가처분소득의 절반 정도를 식비로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. <br /> <br />가처분소득이란 처분이 가능한 소득, 그러니까 전체 소득에서 세금이나 보험료, 이자 등을 뺀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돈을 말합니다. <br /> <br />하위 20%의 지난 3분기 가처분소득은 월평균 90만2천 원. <br /> <br />이중 식비 지출은 42만9천 원으로, 전체 지출의 47.5%, 절반 가까이 차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보다 3.7%, 는 수치인데요. <br /> <br />안타까운 점은, 물가 오름폭을 계산했을 때 저소득층의 실질적인 식비 지출은 되레 4.1% 줄었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니까 물가가 올라 지출금액만 늘어났을 뿐, 실제 먹거리는 줄인 건데요. <br /> <br />이를테면 지난해 3천 원에 2개를 샀던 식품을 올해는 4천 원을 주고도 1개밖에 사지 못하는 상황이죠. <br /> <br />실제 지난 3분기 식료품과 비주류 음료의 물가는 지난해보다 7.9% 올라,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5.9%를 크게 웃돌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먹거리 물가의 상승세가 서민층에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뜻입니다. <br /> <br />오르는 건 식비뿐만이 아니죠. <br /> <br />전기나 가스요금 같은 공공요금도 줄줄이 인상되는데요. <br /> <br />생활에 꼭 필요한 주거 관련 비용 역시 소득이 낮을수록 그 비중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저소득층 민생 안정을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윤보리 (ybr0729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1121195036089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